안녕하세요!
오늘도 게임개발자가 되기위해 공부하고 있는 구구입니다.
오늘은 갓생살기 14일차가 되는날입니다.
오늘은 어제에 이어 C# HelloWorld 코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제와는 다른 HelloWorld 코드를 먼저 가져오겠습니다.
우선 이렇게 코드가 바뀔때 항상 해당 프로젝트를 '시작 프로젝트로 설정'해주셔야 합니다.
이렇게 시작프로젝트로 설정하고 난 후 디버깅을 하면 처음엔 아래와 같이 나오게됩니다.
우선 위의 경우는 args가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if문에 의해 args.Length > 0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위와같은 결과가 나오게 됩니다.
if문을 아직 배우지 않았지만 설명하자면 if옆에 조건(args.Length > 0)를 만족하면
if문의 {}안의 구문이 실행된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args가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우선 파일탐색기에서 폴더 열기를 통해 해당 프로젝트(002_HelloWorld2)의 경로를 찾아줍니다.
그 후 도스창(윈도우10 명령프롬프트)를 열어줍니다.
그다음 도스창에서
cd..
cd C:\Test\ExamCode-master\ExamCode-master\FastCampus_Sample_CS_1\002_HelloWorld2\bin\Debug
(해당밑줄은 아까 복사한 경로주소)
dir
해당프로젝트명.exe +args
순으로 입력해줍니다. 아래에 예시를 남겨두겠습니다.
처음하기엔 너무 복잡하고 어렵지만 우선 이렇게 할 수 있다, 이렇게 실행할 수 있다 라는 것을 알고 가시면
될꺼같습니다. 여기서 핵심은 우리가 10이라는 숫자를 입력했을 때 이 10이 args로 들어가서
그것이 출력으로 들어갔다는 부분을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 썼던 함수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Console.WriteLine()
Console.Write()
둘을 둘다 출력하는 함수이지만 둘의 차이는 enter 즉, 줄바꿈을 하냐 안하냐의 차이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게임 개발 공부 > 패스트 캠퍼스 이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6일차 (0) | 2021.11.16 |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5일차 (0) | 2021.11.15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3일차 (0) | 2021.11.13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2일차 (0) | 2021.11.12 |
패스트캠퍼스 챌린지 11일차 (0) | 2021.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