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 클래스 1
본문 바로가기
  • 게임 개발자가 되고싶은 구구
게임 개발 공부/C#

C# 클래스 1

by gugu99 2021. 12. 8.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도 게임개발자가 되기위해 공부하고 있는 구구입니다.

오늘부터는 C#의 클래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클래스
  • 클래스의 개념

public class Point // 접근 한정자 class 클래스명

{

    public int x, y;  // 변수(필드)

    public Point()   // 메소드(함수), 위에서 지정한 변수들을 사용

    {

     ······

    }

}

 

- 사용자가 직접 만든 틀

- 변수(필드)와 함수(메소드)를 하나의 단위로 결합

- 상속, 다형성, 파생 클래스의 특수화 메커니즘

- 필드와 메소드, 생성자를 전부 합쳐서 멤버(Member)라 부름

 

 

  • 접근 한정자

- 클래스의 멤버에 액세스(접근)할 수 있는 수준

 

1. public

- 엑세스가 제한되지 않음

 

2. protected

- 해당 클래스 혹은 이 클래스에 파생된 클래스로만 엑세스가 제한됨

 

3. private

- 이 클래스로만 액세스가 제한됨

 

※ 이 이외에도 internal, protected internal, private protected등이 또 있지만 자주 쓰이진 않음.

 

 


C#-new-private-pulblic-멤버변수-멤버함수-Member-접근한정자-변수-함수-class-클래스

현재 class AA가 사용자(본인)가 만든 클래스입니다. 기본적으로 자료형 앞에 아무언급 없이 변수선언을 하게되면 그 변수는 private 속성을 띄게 됩니다. 반대로 public처럼 언급을 하면 해당 변수의 접근한정자를 바꿀 수 있습니다.

AA aa = new AA();

의 경우 우리가 만든 class라는 틀을 객체 생성한 경우입니다. new라는 키워드는 나중에 다시한번 제대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위의 메인함수에서 aa의 num1과 num2와 num3중 num2와 num3는 메인함수에서 값의 대입이 가능합니다.(public)

하지만 num1은 접근 한정자가 private이므로 메인함수에서 값을 지정해 줄 수 없습니다.

그리고 함수의 경우도 그냥 Print() 함수의 경우는 메인함수에서 사용가능하지만 private이 접근 한정자인

PrivatePrint()는 메인함수에서 사용하려고 할 경우 오류가 나게 됩니다.

 

 

C#-new-private-pulblic-멤버변수-멤버함수-Member-접근한정자-변수-함수-class-클래스

실제 구동 결과 num2와 num3는 값이 대입되서 10과 100이 각각 출력되었지만 num1의 경우는 초기화값인 0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직 헷갈리는 부분도 많고 왜 저러지 하는 부분도 있을테지만 아직 클래스의 첫 부분이기때문에

다음에 이어서 설명 드리면서 부족한 부분을 채워나가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여기까지 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게임 개발 공부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 클래스 3  (0) 2021.12.10
C# 클래스 2  (0) 2021.12.09
C# 함수& 배열 문제 풀이 2  (0) 2021.12.07
C# 함수& 배열 문제 풀이 1  (0) 2021.12.06
C# 배열 2  (0) 2021.12.04

댓글